AOP2 Spring AOP 지난 포스팅에서 @Async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비동기 멀티 스레드를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다. 해당 기능은 Spring AOP의 기능이라고 작성을 했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AOP가 무엇인지, 또 어떻게 사용을 하는지 포스팅을 하고자 한다. AOP란.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는 흩어진 Aspect를 모듈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OOP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사용. 프로젝트 전반적으로 여러 메소드들에서 반복되는 코드 또는 로직을 모듈화 하여 재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가장 흔한 예를 들자면 로깅을 하는 기능이 있다고 했을 때 각 메소드 마다 성능 측정 로깅을 넣는다고 하면 메소드 내부에 반복되는 코드들이 계속 늘어날 것이며 유지보.. 2023. 6. 13. @Asnyc를 이용한 멀티 스레드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도 멀티 스레드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ThreadPoolTaskExecutor의 스레드 풀 설정과 @Asnyc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비동기 멀티 스레드를 구현하고자 한다. @Asnyc란 - @Asnyc는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으로 비동기 처리를 하고 싶은 메소드 위에 붙여서 사용하면 된다. -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EnableAsync을 필수적으로 같이 사용해줘야 한다. - @Asnyc와 @EnableAsync는 Spring AOP의 하나로 AOP 제약 사항을 받는다. 1. ThreadPoolTaskExecutor 설정 - 이전 포스팅에서 작성해두었던 설정 파일을 그대로 가져와서 @Enab.. 2023. 6.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