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Framework3 Spring JPA / @MappedSuperclass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JPA에서 사용하는 @MappedSuperclass 어노테이션에 대해서 작성을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JPA에서는 3가지의 상속관계 매핑이 존재하며 @MappedSuperclass 어노테이션은 상속관계 매핑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상속관계 매핑과는 무관하다고 하면서 JPA에 3가지 상속관계 매핑이 존재한다고 얘기를 했냐면 DB에서의 상속 관계와는 무관하지만 객체 지향 관점에서 중복되는 컬럼을 하나의 클래스로 정의를 하고 해당 클래스를 상속을 받기 때문입니다. JPA의 상속관계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이 말이 이해가 잘 안가실 수 있습니다. 위에 얘기가 잘 이해가 안가시는 분들은 일단 머리속에서 JPA의 3가지 상속관계 매핑이라는 개념을 지우고 @MappedSuperclas.. 2023. 7. 12. Spring JPA / Entity 연관관계 지난 포스팅에서는 JPA의 Entity에 대해서 작성을 했었는데요. Entity란 JPA에서 관리하는 DB와 매핑이 되는 객체를 뜻하며 객체 클래스 위에 @Entity을 사용해서 JPA에게 '해당 객체는 Entity로 사용을 할 것이다' 라고 명시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JPA에서는 DB의 연관 관계를 어떻게 사용을 하는 것인가?', '두개의 테이블을 join을 어떻게 객체화 시키지?' 라는 주제로 Entity의 연관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DB Table의 연관관계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DB는 Mysql, MariaDB, Oracle 등 RDB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을 하는데 이러한 RDB에서는 FK (Foreign Key)를 사용해서 두 테이블간의 연관 관계.. 2023. 6. 27. @Asnyc를 이용한 멀티 스레드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도 멀티 스레드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ThreadPoolTaskExecutor의 스레드 풀 설정과 @Asnyc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비동기 멀티 스레드를 구현하고자 한다. @Asnyc란 - @Asnyc는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으로 비동기 처리를 하고 싶은 메소드 위에 붙여서 사용하면 된다. -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EnableAsync을 필수적으로 같이 사용해줘야 한다. - @Asnyc와 @EnableAsync는 Spring AOP의 하나로 AOP 제약 사항을 받는다. 1. ThreadPoolTaskExecutor 설정 - 이전 포스팅에서 작성해두었던 설정 파일을 그대로 가져와서 @Enab.. 2023. 6. 8. 이전 1 다음